회원조합
조합의 태동과 탄생
서울특별시인쇄정보산업협동조합은 1962년 서울특별시인쇄공업협동조합이라는 이름으로 창립총회를 열고 조합 활동을 시작하였습니다. 1960년대까지 답보 상태에 있던 우리나라 인쇄산업이 1970년대 대전환기를 맞으면서 업계 전체가 크게 활성화되기 시작했습니다. 조합 역시 인쇄산업을 위해 매진하여 여러 가지 성과를 내었습니다.

당시에는 인쇄 관련 제도가 매우 미비한 상태였습니다. 조합은 정부를 대상으로 인쇄 관련 제도 정비를 위해 적극 활동하였습니다. 캘린더 수입을 저지하여 국내 인쇄 시장을 지켰으며, 잉크와 제지 수입을 건의해 인쇄 품질 향상에 기여하였습니다. 국내 인쇄업계가 적정한 이익을 얻을 수 있도록 인쇄요금 인상도 추진하였습니다. 인쇄소와 인쇄업체에 대해 적합하지 않게 매겨진 세율과 세목을 수정하고 현실성 없는 환경 규제를 완화하도록 꾸준히 건의하기도 했습니다. 그 결과 세율은 제조업으로 일원화되었고, 환경 규제와 관련해서도 도시형 산업으로 인정되어 규제가 완화되는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특히 인쇄업체의 수출을 늘리기 위해 선진국 현황 조사를 위한 시찰단을 파견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습니다.

1980년대에 들어서 인쇄산업이 안정적인 성장의 길을 걷게 되면서 조합은 당시 정부가 추진하고 있던 중소기업 성장발전의 저해 요인 개선작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인쇄업계와 관련된 문제점을 적극 건의하였습니다. 노임단가 현실화, 인쇄업종의 공장 이전 제한 완화, 인쇄업을 중소기업진흥법에 의한 우선육성업종 지정, 비영리기관의 인쇄 분야 침해 중지 등이 그것이며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또한 조합은 인쇄인들의 권익보호와 국내 수급 안정, 인쇄용지 유통의 안정화를 위해 힘썼습니다. 최소 수입과 원가를 보전할 수 있는 거래가격의 기준을 구축하는 데도 노력했고, 조합원의 권익보호뿐 아니라 안전과 노사관계 등에도 관심을 기울였고, 이러한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세미나를 열기도 했습니다.

조합은 1990년대 들어서 기존 현안 외에도 기능인력 양성을 위해 본격적인 준비를 하였습니다. 공장집단화 사업의 일환으로 아파트형 공장을 건설하려 하였으나 택지 취득허가를 받지 못해 어려움을 겪은 바도 있습니다.
1993년에는 조합 부설 인정직업훈련원을 설립하였습니다. 인정직업훈련원은 마포구 서교동 352-26에 대지 357.025㎡(400평)에 지하 2층, 지상 5층 건물로 오프셋인쇄‧사진제판 실습실을 비롯하여 전산시스템 및 강의실과 강당을 갖추고 1월 5일 개원식을 가졌습니다. 훈련원은 관련 업계 지원으로 다양한 실습 장비를 구축하고 현장 중심의 교육을 실시하였습니다.

인정직업훈련원은 중소기업협동조합 중 처음으로 설립되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큽니다. 하지만 인쇄환경의 급속한 변화에 적극 대응하지 못하여 졸업생들이 인쇄업계 진출이 미약하고 IMF 등으로 인쇄업계의 경제적 지원까지 받지 못하게 되자 1998년 상반기 교육을 마지막으로 폐원했습니다.
2000년에는 조합 명칭을 ‘서울특별시인쇄정보산업협동조합’으로 변경하는 것에 대한 서울시의 인가를 받았습니다. 2001년에는 서울시가 인쇄산업을 대표적인 유망산업으로 지정하여 집중적으로 육성하기로 하였습니다. 이에 인쇄업을 지역 특화품목으로 지정한 데 이어 조합을 통해 서울인쇄센터를 설치하였습니다. 서울인쇄센터는 인쇄업체 종합지원 체계 구축과 해외 판로 개척의 중추기지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습니다.
쌍림동 시대의 개막
조합은 2002년 3월 23일 중구 쌍림동 146-1번지에 새롭게 마련한 인쇄정보센터로 이전을 했습니다. 이로써 서교동 인쇄문화회관을 떠나 우리나라 인쇄문화산업의 메카인 중구 지역으로 이전, 인쇄산업의 구심점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습니다. 인쇄정보센터는 대지 1286.3㎡(489.1평)으로 지하 2층과 지상 7층 규모였습니다. 특히 1층과 2층에는 인쇄문화홍보관을 비롯해 재단법인 서울인쇄센터 등을 마련하여 인쇄인은 물론 일반인들에게도 인쇄산업의 중요성을 인식시켰습니다.

2003년에는 서울특별시경인쇄정보산업협동조합과 통합 논의를 거쳐 전격 합의했습니다. 2006년에는 제1회 서울인쇄대상 및 인쇄문화축제를 개최하였습니다. 제1회 서울인쇄대상 및 인쇄문화축제는 서울시의 특화산업인 ‘인쇄’를 널리 홍보하고 인쇄종주국으로서의 자긍심 고취와 인쇄산업의 우수성을 알리기 위해 시작되었습니다.

2007년에는 조합은 유일하게 서울시의 인력지원자금 8억 2000만 원을 지원받아 조합원만을 대상으로 한 획기적인 인력지원사업을 실시하였습니다. 또 조합과 대한인쇄문화협회, 대한인쇄정보산업협동조합연합회는 공동으로 제정을 추진한 ‘인쇄문화산업진흥법’이 국회를 통과하였습니다. 이로써 인쇄업계 단독 진흥법이 탄생하게 되었습니다.
업계는 조달청의 인쇄기준요금이 현실성을 잃고 지나치게 낮게 책정되고 있다는 문제를 지속적으로 제기하여 왔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05년 조달청은 외부 시장조사 업계에 용역을 맡겨 산출한 기준요금을 적용하려고 하였으니 업계의 강력한 반발에 2005년 고시된 요금을 2011년까지 적용하였습니다. 이후 조달청이 갑자기 2011년 5월 인쇄기준요금을 폐지되면서 연합회는 조합에서 추진하는 인쇄공정별 요금을 적극 적용해 나가기로 했습니다. 5월 15일 (사)한국물가협회를 통해 새로운 ‘인쇄공정별 요금’을 발표하였습니다. 인쇄공정별 요금은 조합이 1년간 심혈을 기울여 조사한 결과를 기반으로 이루어졌고, 이를 기반으로 인쇄 견적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관공서를 포함한 수요처에 배포하였습니다.
2020년에는 인쇄업계를 대표하는 공동상표 ‘HI-PRINTING’의 상표 등록을 조합 주도로 완료하였습니다. 서울인쇄조합은 이를 위해 상표 개발과 자체적으로 개발한 상표도 공동상표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판로지원법 개정에도 앞장서 왔습니다.
서울시가 2023년 인쇄업체 밀집지역인 오장동 일대 재개발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면서, 조합은 인쇄업계의 권익 보호를 위해 앞장서고 있습니다. 2024년 2월에는 인쇄인 생존권 수호 궐기대회를 개최하고, 조합 주도로 주민 공청회에 적극 참여해 의견을 개진하는 등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습니다.
조합은 현재 인쇄물 수요가 감소하고 디지털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현실을 반영하여 미래를 대비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2024년에는 2세 인쇄인들의 모임인 청년위원회를 설치하여 2세 인쇄인들의 가업 승계와 역량 강화를 지원해 오고 있으며, 공동구매‧공동판매 디지털 POD 플랫폼 구축을 준비하는 등 조합원의 권익 보호와 다가올 미래에 대비하고 있습니다.
(04560) 서울 중구 마른내로 140 (쌍림동) 3층